.

전후납북자 피해가족 연합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GO

언론보도

 Home

[사설] 정상회담 뒤 사라진 납북자·국군포로 가족 상봉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9,124회 작성일 07-10-17 16:22

본문

남북정상회담 이후 첫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가 17~22일 금강산에서 열린다. 이번 제16차 행사에선 17~19일 1차로 북측 97명과 남측 가족 400여명이, 20~22일엔 북측 94명과 남쪽 가족 250여명이 만난다. 이 중 납북자·국군포로 가족은 단 한 명도 없다.

2000년 11월 2차 상봉행사 이후 15차까지 납북자·국군포로 가족들은 ‘특수 이산가족’이란 이름으로 한 번에 1~4명씩 만남이 허용돼 왔다. 납북자와 국군포로 가족 간의 만남이 전혀 없는 행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숫자가 적긴 해도 계속 이어지던 상봉이 남북관계에 획기적 발전을 이뤘다는 정상회담 후에 끊어져 버렸다.

노무현 대통령이 정상회담 對대국민 보고회에서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에 대해 “논의는 했으나 성과는 없었다”고 했지만 논의의 결과로 납북자나 국군포로 상봉이 없어지리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북한은 국군포로와 납북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정부는 이런 북한 눈치를 보느라 납북자나 국군포로 문제에 대해선 입도 제대로 벙긋 못한다. 4월 남북적십자회담 때는 국군포로와 납북자들의 생사 확인과 별도 가족상봉을 성사시키겠다더니, ‘이산가족 상봉 때 몇 가족 끼워 넣으면 된다’는 북한 주장에 물러섰다. 북한의 이 주장은 이번 일로 결국 食言식언이 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납북자·국군포로 20명에 대해 북한에 생사 확인을 요청했지만 19명은 확인 불능, 1명은 사망 통보를 받았다”고 했다. 아무리 북한 내부 사정이 엉망이라고 해도 20명 중 19명이 확인 불능이란 것은 도저히 믿을 수 없다.

납북자·국군포로는 북한에서 감시를 받고 사는 사람들이다. 과거 북한이 ‘확인 불능’이라고 했던 납북 어부 고명섭씨와 국군포로 양한섭씨는 탈북해 한국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통일부는 “북측 통보날짜가 정상회담이 열리기 2주 전인 9월 18일인 만큼 상봉행사와 정상회담은 무관하다”고 끝까지 변명했다. 그러나 정상회담 성사가 발표된 것은 그 훨씬 前전이었다.

정부는 지금 공동선언문 이행 종합기획단까지 만들며 들떠 있다. 그 뒤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그 가족들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2013 unite2011.co.kr. Made with love by 사단법인 전후납북자 피해가족 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