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후납북자 피해가족 연합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GO

언론보도

 Home

정상회담 후 단1명도 못만나는 국군포로·납북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9,273회 작성일 07-10-17 16:26

본문

2∼4일 남북정상회담과 10·4선언이 국군포로·납북자 문제를 사실상 ‘논의 밖’으로 한 사실과 남북정상회담 이후 첫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그들 중 단 1명도 포함되지 않는 사실이 통일부측 해명대로 과연 우연인가.

17일부터 엿새에 걸쳐 금강산에서 이뤄지는 제16차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해 통일부측은 “8월22일 북측에 국군포로 10명과 납북자 10명이 포함된 상봉 대상자 명단을 제출해 생사확인을 요청했으나 북측은 지난달 18일 국군포로 1명은 사망했고 나머지 19명은 생사 확인이 되지 않는다는 통보를 보내왔다”고 15일 밝혔다. 우리는 통일부가 북한에 생사확인을 요청한 날이 남북이 함께 정상회담 성사를 발표한 8월8일 이후 20일 경과한 시점이며, 북한측이 사망과 생사 불명을 통보한 날 역시 정상회담 개최 2주 전임을 되돌아보며 국군포로·납북자 단 1명의 상봉도 이뤄지지 않는 점을 이해하기 힘들다. 정부의 성의 부족을 탓하기에 앞서 노무현 대통령이 평양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를 제기했으나 침묵으로 응대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입장을 감안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국군포로·납북자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11월 제2차 상봉에서 납북 동진호 선원 강희근씨가 남측 어머니 김삼례씨를 상봉한 후 ‘특수이산가족’ 형태로 매번 상봉행사에 1∼4명씩 참여해, 지금까지 11명의 국군포로와 14명의 납북자가 가족을 만났다. 2000년 2차상봉 이후 국군포로·납북자가 1명도 포함되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이 그래서 더 예사롭지 않다.

노 대통령은 4일 대(對)국민 보고를 통해 국군포로·납북자 문제에 대해 성과를 보지 못했음을 사과했지만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11일 “논의가 안된 것으로 보는 게 맞다”고 음색을 달리했다. 이 음색 차이 또한 노 정부가 국군포로·납북자 문제 해결에 대한 진정한 의지가 있는가 하는 의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사 게재 일자 2007-10-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2013 unite2011.co.kr. Made with love by 사단법인 전후납북자 피해가족 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