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후납북자 피해가족 연합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GO

언론보도

 Home

북, 취재제한에 출발지연까지…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댓글 0건 조회 1,119회 작성일 06-03-24 09:03

본문

북측이 남측 보도의 표현을 문제삼아 이산가족 상봉단의 귀환 문제에 연계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표면상 문제의 발단은 우리측 언론의 ‘납북자’와 ‘나포’라는 표현 때문이었다.

상봉 첫 날인 20일 오후 MBC와 SBS가 납북자와 남측 부인의 상봉장면을 본사로 송출하려는 때 보도내용에 들어간 이 표현을 문제삼아 송출을 막은 것. 북측은 이어 다른 방송사 보도에도 ’납북’과 ’나포’ 단어가 들어가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북측은 다음 날인 21일 오전 이산가족 개별상봉에 응하지 않다가 이를 저녁으로 미뤘고 SBS와 MBC 기자에 대한 취재 활동을 제한했다.

이에 대해 우리측 공동취재단은 취재거부로 맞서다가 22일 오전 작별상봉 때 취재를 강행했지만 북측은 MBC 기자가 마이크를 잡고 리포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다시 제지한 데 이어 상봉단이 돌아가는 이날 오후 1시 두 방송사 기자 모두에게 나갈 것을 요구했다.

북측은 특히 이날 출경 예정이던 MBC 기자 외에도 잔류하려던 SBS 기자의 출국을 상봉단 1진의 귀환과 연계하면서 상봉단 버스의 출발은 지연될 수 밖에 없었고 고령자가 많은 상봉단은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공동취재단은 상봉단의 사정을 감안해 전원 철수까지 신중하게 검토했다.

우리측은 북측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 아래 남북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북측을 설득했지만 험악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결국 오후 8시께 북측이 이날 출경 예정인 인원이 나가도 좋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이번 사안은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북측의 이런 태도는 이번까지 13차례 상봉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처음 있는 일로, 과거에도 현지 리포트에서 ‘납북자’라는 용어를 썼는데도 큰 문제는 없었다. 다만 작년 11월 12차 상봉 때 북측의 비슷한 이의 제기가 있었지만 당시에는 상봉단을 볼모로 삼는 상황까지 가지 않고 조용히 넘어갔다.

이 때문에 이번 일에 대해서는 정부 안팎에서도 북측 조치가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는 평가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북측이 이런 태도를 보인 이유는 무었일까.

일단 북측은 작년 11월의 연장선상에서 이번 일을 다시 문제로 삼았을 수 있다.

하지만 작년에 비해 수위가 높아졌다는 점에서 최근의 상황을 감안해 의도적으로 이뤄졌을 것으로 보는 분석이 우세한 편이다.

최근 추가된 상황으로는 무엇보다 이종석(李鍾奭) 통일부 장관이 취임한 이후 중점 추진 과제로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를 제시한 점과 이에 따라 지난 2월 제7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도 이 문제가 중점 부각된 점을 들 수 있다.

우리측이 향후 장관급회담이나 적십자 채널을 통해 북측에는 가장 민감한 사안인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차원에서 이뤄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신임 이 장관의 회담 데뷔에 앞서 기선을 잡고 남측 언론에 대한 길들이기도 가능할 것이라는 측면도 감안한 다목적 포석이라고 보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와 함께 현재 남북관계에서 북측이 관심을 갖고 있는 현안인 대북 경공업 원자재 지원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사전에 협상력을 높이려는 차원에서 이 같은 시도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번 2진 상봉이 끝나는 날인 25일이 한미 연합전시증원(RSOI) 연습이 개시되는 날이라는 점에서 북측의 신경이 예민해졌을 가능성을 엿보는 관측도 있다.

이번 사태로 23∼25일 이뤄질 이산가족 2진 상봉이 무산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이산가족 상봉이 민족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치유하려는 인도주의 성격을 갖고 있는 만큼 도중에 상봉을 중단할 경우 남측에서 비난 여론이 일 것이 분명하며 이런 상황은 북측에도 전혀 득이 될 게 없기 때문이다.

또 남북이 합의한 6.15 이산가족 특별상봉을 포함한 상봉행사 역시 예정대로 이뤄질 공산이 크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해당자가 있을 경우 ‘납북자’라는 표현은 계속될 수 밖에 없어 재발 가능성은 남아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일을 향후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정으로 보는 시각이 정부 안팎에서 팽배한 만큼 북측의 태도 변화가 없는 한 난제로 남을 전망이다./연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2013 unite2011.co.kr. Made with love by 사단법인 전후납북자 피해가족 연합회